이번엔 파이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유용한 자료구조인 딕셔너리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딕셔너리(Dictionary)란? 파이썬의 딕셔너리(Dictionary)란 키(key)와 값(Value)을 쌍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입니다. 리스트와 튜플과는 달리 인덱스가 아닌 고유한 키를 사용하여 값에 접근하는 자료구조 입니다. 딕셔너리의 키는 중복되지 않기에 이러한 특성을 통하여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검색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자료구조 입니다. 2. 딕셔너리(Dictionary) 생성하기 딕셔너리는 중괄호 '{ }' 를 사용하여 생성합니다. 다음 예제와 같이 키와 값으로 구조화 합니다. person = { "name": "vipdeveloper", "age": 33, "email":..
파이썬의 자료구조 튜플은 변경불가능한 시퀀스 형태의 자료구조입니다. 1. 시퀀스 형태란? 시퀀스 형태라는것은 요소들이 순서를 가지고 있고 인덱스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튜플? 리스트? 튜플은 리스트에서 지원하는 여러가지 함수들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리스트보다 접근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처음 지정한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필요가 없는 경우 튜플을 사용하는 것이 퍼포먼스가 더 좋을 것입니다. 3. 튜풀이란? 리스트와 같이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나 값의 변경이 불가능한 자료구조 3-1. 변경 불가능성 (Immutable) 튜플은 한번 생성되면 내부 요소들을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리스트와의 주요 차이점입니다. 따라서 튜플은 "..
이번에 포스팅할 내용은 파이썬의 기초 자료구조인 리스트(list)입니다. 리시트는 여러개의 요소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배열과 같은 자료구조로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다루는데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라 생각합니다. 1. 리스트(list)란? 리스트(list)는 여러개의 요소들을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는 자료구조로 다양한 데이터 타입의 요소들을 함께 저장할 수 있는 자료구조 입니다. # 리스트 생성 fruits = ["apple", "banana", "cherry"] numbers = [1, 2, 3, 4, 5] mixed_list = ["apple", 123, True, 3.14] 2. 리스트(list)의 인덱스 리스트(list)의 각 요소들을 인덱스를 사용하여 접근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list)의 ..
파이썬의 기초문법 중 함수, 리스트, 딕셔너리 그리고 라이브러리(모듈) 임포트 하는 법을 간단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별도의 글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1. 함수 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으로 함수를 정의하면 코드의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덧셈을 하는 함수 예시입니다. # 함수 정의 def addition(num1, num2): return num1 + num2 # 함수 호출 result = addition(1, 3) # 결과 출력 print(result) 2. 리스트 리스트는 여러개의 요소의 순서가 저장되고 보장되는 자료구조입니다. fruits = ["apple", "banana", "cherry"] print(fruits[0]) # "apple" 출력 3. 딕셔너..
파이썬의 기초 문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출력하기 / 프린트 문 / print 문 print("Hello, World!") 2. 주석 : 코드에 주석 작성하기 # 주석을 작성합니다 3. 연산자 : 산술, 비교, 논리 연산자를 사용하여 연산 a = 1 b = 2 # 산술 연산 c = a + b d = a * b # 비교 연산 is_equal = a == b is_greater = a > b # 논리 연산 result = (a > 0 ) and ( b > 5 ) 4. 조건문 : 조건에 따라 분기처리 됩니다. if condition: # 조건이 참일 때 a = 1 else: # 조건이 거짓일 때 a = 2 5. 반복문 : 코드 블록을 반복하여 실행합니다. # for 문 for i in range(10): ..
"ABC" "12345" "12-22-AB" 문자열이라 하면 말 문자 그대로 문자들로 구성된 집합을 의미한다. 숫자의 경우 앞에 숫자형 자료형에서 다루었지만 해당 숫자를 ""(또는 '')로 감싸는 경우 숫자가 아닌 문자열 자료형이라 생각하면 된다. python에서 문자열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큰 따옴표 "Hello World" 2. 작은 따옴표 'Hello World' 1, 2의 경우 일반적인 문자열에 사용한다 생각하면 된다. 단 실제 사용하려는 문자열 내에 큰 따옴표 또는 작은 따옴표가 존재 할 시 표시할 또옴표와 겹치지 않는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표기에 지장이 없다. 이스케이프 코드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밑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It's My Life" '"My L..
파이썬의 자료형 중 숫자형에 대하여 알아보자. 숫자 형은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숫자들과 컴퓨터내에서 사용하는 8진수 16진수 등을 말한다.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면 간단한 계산부터 반복문을 실행 할 횟수등 숫자를 사용해야하는 상황이 온다. 이때 숫자들을 우린 숫자 자료형으로 저장하여 사용하곤 한다. c언어 나 자바등 몇몇 언어들은 파이썬과 다르게 자료형을 선언하고 하고 사용하나 파이썬의 경우 그러한 일을 하지 않고 바로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는 변수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실제 파이썬을 실행하여 작업을 진행해보자. 일단 파이썬을 실행하여 보자. 파이썬 공부를 위해 본인이 사용 하려하는 버전 또는 깔려있는 버전을 사용하자. 추후 실제 프로젝트 생성 시는 사용하려는 라이브러리나 작업에 맞는 파이썬 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