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적인 개념인 '모듈'과 '패키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모듈(Module)이란? 파이썬에서 모듈은 코드를 담고 있는 파일로, 함수, 클래스, 변수 등의 정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른 파이썬 프로그램에서 모듈을 불러와(import) 사용함으로써 코드를 재사용하고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습니다. 모듈을 만들려면 단순히 .py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생성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my_module.py'라는 파일을 만들고 그 안에 함수나 변수를 정의하면 해당 파일은 모듈이 됩니다. - 모듈 사용법 다른 파이썬 프로그램에서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import 문을 사용합니다. import 문은 해당 모듈의 내용을 현재 프로그램에 가져오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은 지난 글에 이어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 기술중 하나인 제너레이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제너레이터란?(generator) 제네레이터(generator)는 이터레이터(iterator)를 생성해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함수입니다. 구현은 return 대신 yield 키워드를 사용하는 방법과 제너레이터 표현식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럼 우리는 굳이 제너레이터를 사용할까요? 특징을 보면서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너레이터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함수 내에서 yield 문을 사용하여 값을 반환하며, 함수의 실행 상태가 일시적으로 중지되고 재개 - 제네레이터는 필요한 값을 요청할 때만 생성하고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음 - 대용량 데이터도 처리할 수 있고, 메모리 효율적으로 작동 - 이..
오늘은 파이썬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이터러블과 이터레이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터러블(iterable) 이터러블은 for 루프 등에서 반복 가능한 객체를 말합니다. 리스트(list), 튜플(tuple), 문자열(str), 딕셔너리(dict), 세트(set) 등의 컨테이너 데이터 타입은 모두 이터러블입니다. 이터러블은 내부적으로 __iter__() 메서드를 구현하여 이터레이터(iterator)를 반환합니다. for 루프 등에서 사용하거나, iter() 함수를 사용하여 이터레이터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2. 이터레이터(iterator) 이터레이터는 이터러블에서 각 항목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객체입니다. 이터레이터는 __iter__()와 __next__() 메서드를 구현하여 ..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이썬의 중요한 개념인 클래스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하여 글을 써볼까 합니다. 들어가기 앞서서..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소프트웨어를 구조화하고 모듈화 하는 강력한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 클래스란? 클래스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으로, 데이터와 메서드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서 코드를 보다 유지보수 가능하고 재사용성이 높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1. 클래스와 객체의 개념 클래스는 속성과 행위를 정의한 것이고 객체는 클래스의 인스턴스입니다. 예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클래스 정의 class Dog: def __init__(self, name, age): self.name = name self.age = age de..
오늘은 파이썬 함수에서 가변인자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가변 인자 처리방법 이란? *args, **kwargs 란? *args 와 **kwargs는 파이썬에서 가변인자를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의 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미리 정해지지 않은 개수의 인자를 받을 수 있다. 2) 함수를 호출할 때 유연하게 인자를 전달 할 수 있다. 2. *args (Positional Arguments) *args는 함수 정의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매개변수 이름으로, " 여러 개의 위치 인자 "를 의미합니다. 함수 정의 시에 *args를 사용하면 함수가 임의의 개수의 위치 인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함수 내부에서 *args는 튜플 형태로 처리됩니다. *args 예제 def my_function(*ar..
오늘은 데코레이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데코레이터(decorator)란? 파이썬에서 데코레이터는 기존 함수나 메서드의 기능을 수정하거나 확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데코레이터는 함수나 메서드를 둘러싸는 형태로 정의되며, 데코레이터를 이용하여 기능을 추가하거나 수정함으로써 코드의 재사용성과 가독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줍니다. 데코레이터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개념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융합하여 파이썬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2. 데코레이터(decorator)의 구현 방법 데코레이터는 보통 함수로 정의되며 기존 함수를 인자로 받아 그 함수를 수정하고 수정된 함수를 반환하는 구조를 갖습니다. 데코레이터는 ' @decorator_name ' 과 같은 형태로 사용..
안녕하세요. 오늘 지난 글에 이어 람다 함수와 데코레이터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람다 함수란? 람다 함수는 익명 함수 (anonymous function) 라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이름이 없는 간단한 함수이기 때문입니다. - 람다 함수는 파이썬에서 간단한 함수를 간결하게 표현하는 방법으로 주로 간단한 연산이나 정렬 함수등에 많이 사용되며 ' lambda ' 키워드를 사용하여 정의되며 이 함수는 런타임에 생성됩니다. 2. 람다 함수와 일반 함수의 차이점 람다 함수와 일반 함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이름과 def 키워드의 유무 입니다. 람다 함수는 이름이 없고, 단일 표현식만 가질수 있기에 간단한 함수를 정의 할때 일반 함수 보다 간결하게 표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복잡한 함수나 여러 줄의 코드를 ..
오늘은 파이썬 함수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함수의 이해와 활용 1. 함수(function)란? 함수란 코드를 논리적인 단위로 나누어 구성하는 것이으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블록입니다. 이러한 코드블록 즉 함수를 사용하면 코드의 재사용성과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 함수는 ' def ' 키워드로 정의되며 함수의 이름과 매개변수,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으로 구성됩니다. 2. 함수의 정의와 호출 1 ) 정의 - 파이썬에서 함수를 정을할때는 ' def '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함수 이름 뒤에 괄호를 붙이고 필요한 경우 매개변수를 괄호 안에 선언합니다. 2 ) 호출 - 생성된 함수를 호출할때는 함수 이름 뒤에 괄호를 붙이며, 필요에 따라 인자를 전달합니다. def add(a, 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