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기초

오늘은 데코레이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데코레이터(decorator)란? 파이썬에서 데코레이터는 기존 함수나 메서드의 기능을 수정하거나 확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데코레이터는 함수나 메서드를 둘러싸는 형태로 정의되며, 데코레이터를 이용하여 기능을 추가하거나 수정함으로써 코드의 재사용성과 가독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줍니다. 데코레이터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개념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융합하여 파이썬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2. 데코레이터(decorator)의 구현 방법 데코레이터는 보통 함수로 정의되며 기존 함수를 인자로 받아 그 함수를 수정하고 수정된 함수를 반환하는 구조를 갖습니다. 데코레이터는 ' @decorator_name ' 과 같은 형태로 사용..
이번에 포스팅할 내용은 파이썬의 기초 자료구조인 리스트(list)입니다. 리시트는 여러개의 요소를 순서대로 저장하는 배열과 같은 자료구조로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다루는데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라 생각합니다. 1. 리스트(list)란? 리스트(list)는 여러개의 요소들을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는 자료구조로 다양한 데이터 타입의 요소들을 함께 저장할 수 있는 자료구조 입니다. # 리스트 생성 fruits = ["apple", "banana", "cherry"] numbers = [1, 2, 3, 4, 5] mixed_list = ["apple", 123, True, 3.14] 2. 리스트(list)의 인덱스 리스트(list)의 각 요소들을 인덱스를 사용하여 접근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list)의 ..
파이썬의 기초문법 중 함수, 리스트, 딕셔너리 그리고 라이브러리(모듈) 임포트 하는 법을 간단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별도의 글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1. 함수 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으로 함수를 정의하면 코드의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덧셈을 하는 함수 예시입니다. # 함수 정의 def addition(num1, num2): return num1 + num2 # 함수 호출 result = addition(1, 3) # 결과 출력 print(result) 2. 리스트 리스트는 여러개의 요소의 순서가 저장되고 보장되는 자료구조입니다. fruits = ["apple", "banana", "cherry"] print(fruits[0]) # "apple" 출력 3. 딕셔너..
· Python
파이썬의 자료형은 아래와 같이 분류 할 수 있다. 1. Number (숫자) 형 2. String (문자) 형 3. List(리스트) , Tuple(튜플) 4. Dictionary(key, value 자료형) 5. set(집합) 자료형 6. bool (참, 거짓) 자료형 하나하나 차근차근 알아가보자~!
vipDeveloper
'파이썬 기초'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