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이썬의 자료구조 튜플은 변경불가능한 시퀀스 형태의 자료구조입니다.
1. 시퀀스 형태란?
시퀀스 형태라는것은 요소들이 순서를 가지고 있고 인덱스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튜플? 리스트?
튜플은 리스트에서 지원하는 여러가지 함수들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리스트보다 접근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처음 지정한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필요가 없는 경우
튜플을 사용하는 것이 퍼포먼스가 더 좋을 것입니다.
3. 튜풀이란?
리스트와 같이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나 값의 변경이 불가능한 자료구조
3-1. 변경 불가능성 (Immutable)
튜플은 한번 생성되면 내부 요소들을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리스트와의 주요 차이점입니다. 따라서 튜플은 "읽기 전용"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요소들이 변하지 않아야 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3-2. 순서(Ordered)
튜플은 요소들이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으며, 이 순서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인덱스를 사용하여 요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3-3. 다양한 데이터타입
튜플은 서로 다른 데이터타입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4. 튜플의 생성 방법 및 사용법
튜플은 괄호 '()'를 사용하여 생성하며 각 요소는 ',' 쉼표로 구분됩니다.
# 빈 튜플 생성
empty_tuple = ()
# 요소가 하나인 튜플은 쉼표를 붙여야 합니다.
single_element_tuple = (42,)
# 여러 요소를 가진 튜플
person_tuple = ("xxel", 30, "xxel@example.com")
#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포함하는 튜플
mixed_tuple = ("apple", 123, [1, 2, 3], {"key": "value"})
# 인덱스를 사용하여 요소에 접근
print(person_tuple[0]) # 출력: "xxel"
print(mixed_tuple[2]) # 출력: [1, 2, 3]
반응형
'파이썬(python)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함수 1편: 파이썬 함수란? Function 이란? (0) | 2023.07.25 |
---|---|
파이썬 자료구조: 딕셔너리(Dictionary) 이해하기, key - value 데이터 구조 (0) | 2023.07.21 |
파이썬 자료구조: 리스트(list) (0) | 2023.07.19 |
파이썬 기초 문법: 함수, 리스트와 딕셔너리, 그리고 라이브러리(모듈) (0) | 2023.07.19 |
파이썬 기초 문법 : print, 주석, 연산, 반복문, 조건문 (0) | 2023.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