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 벨로그와 이곳 저곳을 떠돌다가 복귀... 불편해도 티스토리가 제일인듯..
전체 글
후드 생존 블로그
GitHub에서 리포지토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하는 것은 협업과 프로젝트 관리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Public과 Private 설정을 적절히 활용하면 코드의 공개 범위와 보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GitHub 리포지토리의 접근 권한을 쉽게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각각의 설정이 어떤 상황에서 유용한지 설명하겠습니다. 1. 해당 레포지토리 이동Github에서 접근 권한을 변경하려는 레포지토리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Settings를 누릅니다! 2. Settings에서 Danger Zone 찾기해당 페이지에서 하단으로 스크롤을 내립니다!!2-1. public을 private으로 변경 change to private를 누르시면 몇번의 경고 창이 나옵니다. 넘기시면 요기까지 올..

요즘에는 많은 개발자들이 AI의 도움을 받아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예전에는 AI의 도움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선도 있었지만, 어느 순간부터개발자들은 이러한 AI를 도구로 활용하여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시작했습니다.저도 ChatGPT를 유료로 사용하다가 이번에 GitHub Copilot을 결제하여 사용해보려 합니다.이 글을 통해 결제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https://docs.github.com/ko/copilot/quickstart GitHub Copilot용 빠른 시작 - GitHub DocsGitHub Copilot은 코딩할 때 인라인 제안을 제공하여 작업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docs.github.com먼저 GitHub Copilot 빠른 시작 가이드에 접속합니다. 사이트에 ..

1. 테스트 코드?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테스트 코드의 역할은 무엇일까요?면접을 보거나 대화를 할때 개발자들은 이런 질문을 받습니다. "테스트 코드 작성해 보셨나요?" 과연 테스트 코드가 무엇이고 얼마나 중요하길래 이런 질문들을 하는 것 일까요? 간단히 말하자면 테스트 코드는 코드가 의도한 대로 정확하게 동작함을 보장하며 개발 단계에서문제를 발견하고 수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해당 변경 사항이 기존 기능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할 수 있게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기에 테스트 코드는 고품질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그럼 테스트 코드란 무엇일까요?테스트 코드란 소프트웨어가 요구사항대로 정확하기 동작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작성하는 코드입니다. 테스트 코드를 통해 개발자는 소프..

안녕하세요! 오늘은 AWS EC2 볼륨을 확장하는 방법을 알아볼까 합니다! EC2를 사용하다 보면 볼륨 설정을 변경해줘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 볼륨을 확장하는 단계를 설명해볼까 합니다! 이 글을 통해 EC2 인스턴스의 스토리지 용량을 쉽게 확장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도록 하시죱! 1. 콘솔 작업 : EC2 인스턴스 콘솔로 이동 첫번째로 볼륨을 확장할 EC2를 찾기 위해 AWS EC2 콘솔로 이동합니다. 2. 콘솔 작업 : EC2 클릭하여 상세 탭 확인하기 (스토리지 탭 확인) 해당 EC2를 선택하여 스토리지 탭으로 이동하면 연결된 블록 디바이스의 정보가 표기 됩니다. 해당 인터페이스에서 현재 연결된 볼륨과 볼륨 크기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볼륨이 실제 서버에서 사용하는 볼륨보다 크다..

이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와 관련 된 작업을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고 첫 모델을 생성한 후, Django에서 자동 생성되는 관리자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Django에서 데이터베이스는... SQLite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만약 데이터베이스를 처음 경험해보거나 Django에서 데이터베이스를 한번 경험해보고 싶다면 SQLite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간단한 방법일 것입니다! 가이드 따라가기도 좋다고 봅니당!! # Django 프로젝트 설정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django-admin startproject' 명령을 통해 자동 생성되며, Django 5.0.3 버전을 사용하여 생성되었습니다. # 이 파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https://docs.djang..

Python 에는 여러가지 프레임워크가 존재합니다. 저는 평소에 fastapi 프레임워크를 많이 사용하였는데 이번에 회사 업무로 인해 django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되어 공부를 좀 해볼까합니다! 공부하는 김에 그 과정들을 기록할 겸 올려볼까 합니다. 제가 하는 과정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따라가는 튜토리얼 과정들입니다. https://docs.djangoproject.com/ko/5.0/ Django The web framework for perfectionists with deadlines. docs.djangoproject.com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파이썬과 장고를 설치하는 과정은 생략하겠습니다!! 패스패스!! 1. 장고 설치 확인하겠습니다. ~/workspace/django-practice >..

오늘은 지난 번 글에 이어서 본격적으로 도커로 카프카 환경을 구축해보겠습니다! 저는 일단 주키퍼를 사용하지 않고 Kraft를 활용해서 브로커들을 관리할 예정이기에 카프카는 3.5.1 버전을 활용하고 주키퍼는 별도로 사용하지 않겠습니다. 1. 네트워크 구성 networks: data_network: # 카프카 클러스터 간의 내부 통신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먼저 data_natwork 라는 네트워크를 정의하였습니다. 이 네트워크는 카프카 클러스터 내의 다양한 서비스 간의 내부 통신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며 이는 도커 내부 네트워크를 사용함으로써 서비스들이 서로를 효율적이게 찾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2. 볼륨 구성 # 볼륨 구성 volumes: DataVolume00: # 로컬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볼륨 dr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