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에서 리포지토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하는 것은 협업과 프로젝트 관리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Public과 Private 설정을 적절히 활용하면 코드의 공개 범위와 보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GitHub 리포지토리의 접근 권한을 쉽게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각각의 설정이 어떤 상황에서 유용한지 설명하겠습니다.
1. 해당 레포지토리 이동
Github에서 접근 권한을 변경하려는 레포지토리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Settings를 누릅니다!
2. Settings에서 Danger Zone 찾기
해당 페이지에서 하단으로 스크롤을 내립니다!!
2-1. public을 private으로 변경
change to private를 누르시면 몇번의 경고 창이 나옵니다. 넘기시면 요기까지 올 수 있습니다.
"Ragna-X/django-practice를 비공개로 전환"
경고: 이 작업은 파괴적인 행동입니다.
이 리포지토리를 비공개로 설정하면, 이 리포지토리에 더 이상 접근할 수 없는 사용자와 관련된 별(stars)과 워처(watchers) 수가 영구적으로 사라질 수 있습니다.
0 stars | 1 watcher
"이 리포지토리를 비공개로 설정"
Make this repository private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완료됩니다!!
2-2. Private를 Public으로 변경
I want to make this repository public!
계속 누르다보면 Make this repository public 까지 오게 됩니다. 요것으 누르면 완료입니다!
중간에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되는 경우도 존재하긴 하는데 저는 그창이 뜨진 않았습니다!
3. public과 private?
퍼블릭 저장소는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공개 저장소입니다. 오픈 소스 프로젝트나 코드 공유를 목적으로 할 때 유용하며, 검색 엔진에 노출되어 외부 기여자와의 협업이 가능합니다.
프라이빗 저장소는 특정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는 비공개 저장소로, 민감한 정보나 내부 프로젝트를 관리할 때 적합합니다. 보안이 중요한 프로젝트에 사용되며, 검색 엔진에 노출되지 않아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적절한 저장소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끝으로
끝!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Hub Copilot 결제 (구입) 하는 방법! (0) | 2024.06.12 |
---|---|
[개발] 테스트 코드란 무엇일까? (0) | 2024.04.19 |
[개발] DDD, 도메인 주도 설계 용어 정리 해보기! (0) | 2023.12.11 |
[HTTP] 백엔드 개발자에게 중요한 HTTP 상태 코드!! (0) | 2023.10.08 |
[ChatGPT] ChatGPT란 무엇인가? 이걸 왜 공부해야할까? (0) | 2023.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