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WS CLI란?
aws cli 란 Amazon Web Services Command Line Interface의 약자로 AWS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해 커맨드 라인에서 직접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도구입니다!
오늘은 저도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AWS CLI를 설치와 기본적인 사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AWS CLI 설치
Homebrew 를 사용한 AWS CLI 설치 (OS: macOS)
homebrew는 macOS에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요 내용은 나중에 따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 명령어
brew install awscli
설치 확인
aws --version
설치가 되었다면 사용하기 전에 사용자의 AWS 계정과 awscli를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AWS 자격 증명 구성하기
aws configure
이 명령을 실행하면 정보를 입력하라는 프롬프트가 나타납니다!
입력해야 할 정보
AWS Access Key ID: 사용자의 AWS 계정과 연결된 고유 식별자
AWS Secret Access Key: 계정을 안전하게 액세스하기 위한 비밀 키
Default region name: AWS 서비스를 사용할 기본 리전(예: us-west-2, eu-central-1)
Default output format: AWS CLI의 명령어 출력 형식을 지정 (예: json, text, table).
자격 증명 구성 확인하기
aws s3 ls
이 명령은 사용자의 AWS 계정에 연결된 S3 버킷의 목록을 출력합니다. 만약 자격 증명이 올바르게 되었다면 해당 계정의 버킷 목록이 표시 될 것입니다. 물론 이는 aws s3 에 해당 계정이 롤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이니 사용하는 계정과 롤에 맞춰 다른 명령어로 확인하셔도 됩니다!
오늘은 요까지 간략하게 aws cli를 설치하고 설정해보았습니다!
다음으론 이렇게 설치된 aws cli를 활용하여 ECR 배포를 진행해보겠습니다!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2 인스턴스 볼륨 확장하는 방법, ec2 디스크 용량 늘리는 방법 (0) | 2024.04.03 |
---|---|
ECR 리포지토리 관리, 이미지 푸시 방법 (0) | 2024.02.05 |
Amazon RDS 소개 및 주요 기능 (0) | 2023.04.28 |
AWS Lambda 서비스 및 주요 기능 이해하기 (0) | 2023.04.26 |
Amazon S3 및 주요 기능 이해 (0) | 2023.04.07 |